블로그

INSIGHT

디지털 허브로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2025.03.27.

디지털 허브로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가 디지털 허브로 급부상하며, 글로벌 IT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웅진 역시 말레이시아 시장의 가능성을 일찍이 주목해왔으며, 올해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웅진이 주목하는 말레이시아의 시장 동향을 공유하고자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센터 총 집합

AI 모델의 고도화와 데이터 처리 수요 증가로, 더 많은 기업들이 안정적인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수요 속에, 말레이시아는 글로벌 빅테크의 신규 데이터센터 설립을 유치하며, 아시아 최대 데이터센터 허브로 부상했습니다. 

 

작년 5월, 구글이 말레이시아에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건설하기 위해 20억 달러를 투자하고 그 후 5개월 만인 10월에 완공을 마쳤으며,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는 앞으로 4년간 말레이시아에 22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말레이시아가 이처럼 많은 글로벌 기업들의 선택을 받게 된 배경에는, 말레이시아의 지리적/경제적 환경이 있습니다.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넓은 토지와 에너지, 냉각을 위한 물이 필요한데, 말레이시아는 이러한 자원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데이터센터 산업의 성장은 고용 창출과 긍정적인 경제 효과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되지만, 동시에 에너지 소비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케낭가 인베스트먼트 뱅크 리서치는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의 잠재적 전력 수요가 오는 2035년까지 최대 5GW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이는 현재 말레이시아 전체 전력 설비 용량의 약 5분의 1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우려에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말레이시아에 입주한 글로벌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데이터센터 운영 방안을 공유하는 한 편 지역사회의 환경 복원 프로젝트를 지원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강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말레이시아

반도체 산업 또한 말레이시아의 성장 동력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1972년 인텔이 말레이시아에 160만 달러 규모의 첫번째 해외 생산 시설을 설립하는 것을 시작으로, 다른 다국적 기업들 또한 그들의 공급망 다양화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말레이시아를 선택하면서, 말레이시아는 풍부한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구성해 왔습니다. 말레이시아 정부 또한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보상책을 제공하고, 기술력 강화를 위한 연구 시설과 인재 교육에도 투자했습니다. 그 결과 약 50여년에 걸쳐 성장해온 말레이시아 반도체 산업은 오늘날 말레이시아를 세계 5위 반도체 수출국으로 만들었고, 세계 반도체 패키징·조립·테스트 서비스 시장 점유율 또한 약 13% 수준에 이릅니다.

 

차량부터 AI까지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반도체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수요 또한 성장하였고, 말레이시아도 이에 상응하는 경쟁력 강화에 열을 올리는 모습입니다.

 

작년 5월 28일, 말레이시아 총리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은 SEMICON Southeast Asia에서 말레이시아 국가 반도체 전략 (National Semiconductor Strategy, NSS)를 직접 발표했는데요.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3단계로 요약됩니다.

 

 

[표1] 말레이시아 국가 반도체 전략 요약
[표1] 말레이시아 국가 반도체 전략 요약

 

첫번째 단계에서는, 기존 OSAT(반도체 조립 및 테스트) 산업을 현대화하고, 전력 반도체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해외(FDI) 및 국내(DDI) 투자를 유치합니다. 또한, 반도체 설계 기업을 육성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1단계의 핵심 목표입니다.

 

2단계에서는, 반도체 전공정에 해당하는 설계 및 제조 역량을 강화하여 산업을 고도화합니다. 1단계에서 성장한 현지 설계 기업이 첨단 반도체 제조 생태계에 자연스럽게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또한 주요한 과제입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러한 전략을 이미 실천에 옮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3월 5일, 말레이시아 경제부의 공식 SNS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정부는 영국의 반도체 설계기업 Arm에 10년간 2억 5천만달러를 지급하고, 자체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계 지식재산권을 제공받을 예정이며, 반도체 기술자 1만명을 교육하는 내용을 담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반도체 설계, 첨단 패키징, 제조 장비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Apple, Huawei, Lenovo 등 글로벌 IT 기업을 유치하여 말레이시아에서 첨단 반도체를 생산하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반도체 허브로 자리 잡으며, 설계부터 제조까지 아우르는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패키징/조립/테스트 등의 후공정이 주를 이루던 기존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자체적으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마련하고, 2030년까지 반도체 수출액을 393조원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웅진은 디지털 혁신의 중심지로 부상하는 말레이시아에 현지 법인 설립을 앞두고 있습니다. 국내외 많은 기업들과 함께한 디지털 전환 경험을 바탕으로, 말레이시아의 현지 기업들과 더 많은 비즈니스 혁신을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

 

 

웅진과 함께 디지털 혁신을 시작하세요!

 


 


Reference

Malay Mail, “Malaysia’s first US$2b Google data centre in Elmina to power AI, cloud services with energy-efficient water-cooling tech”, (2024-10-02)
https://www.malaymail.com/news/tech-gadgets/2024/10/02/malaysias-first-us2b-google-data-centre-in-elmina-to-power-ai-cloud-services-with-energy-efficient-water-cooling-tech/152353#google_vignette 


KBS 뉴스, ‘대미 반도체 수출 1위’ 말레이시아, 미국 관세 방침에 우려 고조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85215# 


KINETIK, “Malaysia’s Rise as a Data Center Hub: The Role of Microsoft, AWS, and Oracle”, (2025-03-07)
https://www.letsgokinetik.com/market-bytes/malaysias-rise-as-a-data-center-hub-the-role-of-microsoft-aws-and-oracle/

 
KOTRA 해외시장뉴스, 말레이시아 국가 반도체 전략(NSS): 도전과 기회 (2024-06-27)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Gbn=322&bbsSn=322&pNttSn=216281 

 

연합뉴스, "MS, 말레이시아서 클라우드·AI에 3조원 투자한다", (2024-05-02)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2161400084 

 

연합뉴스, "말레이시아 소도시 조호르바루, 데이터센터 성지로 떠올라", (2024-06-17) 
https://www.yna.co.kr/view/AKR20240617111800009 

 

한국경제, “'아세안 데이터센터 허브'로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2025-02-1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795281

 

연합뉴스, “구글,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 등에 2.8조원 투자”, (2024-05-30)
https://www.yna.co.kr/view/AKR20240530107800009?section=search 

 

연합뉴스, “"말레이시아, 미중 반도체 전쟁의 '깜짝 승자'"”, (2024-03-12)
https://www.yna.co.kr/view/AKR20240312073700009?section=search 

 

연합뉴스, “말레이, 英 Arm 반도체 설계도 샀다…"10년 내 자체 생산"”, (2025-03-05)
https://www.yna.co.kr/view/AKR20250305112400076 

 

목록보기